들어가며
2025년 공개된 Redis 관련 취약점 CVE-2025-49844 대응 차원에서 우리 블로그에서 운영 중인 ElastiCache for Redis 환경을 점검했습니다. 처음에는 엔진 마이너 업그레이드로 해결하려 했지만, 콘솔에서 대응 버전이 보이지 않아 AWS Support에 문의하였고, AWS는 2025-10-03에 elasticache-october-patch-update-202510
서비스 패치를 배포했다고 안내해 주었습니다. 본문에서는 해당 패치 적용 방법과 적용 후 확인해야 할 항목들을 정리합니다.
CVE-2025-49844 요약 (간단)
- 이름: CVE-2025-49844
- 영향: Valkey 및 Redis OSS 버전 등 ElastiCache for Redis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음(공급사·AWS 공지 기준).
- 대응 원리: Redis 엔진의 보안 취약점을 ElastiCache 수준에서 보완하는 서비스 패치 적용으로 완화 가능.
(참고: 취약점 상세 기술은 게시글 하단 링크를 참고하세요 — 본 포스트는 운영 대응 절차에 집중합니다.)
AWS에서 안내한 조치 요약
- AWS는 2025-10-03에
elasticache-october-patch-update-202510
패치를 배포함. - 권장 조치: Redis 엔진 버전 업그레이드 대신 ElastiCache 콘솔의 “Service Updates” 기능을 사용해 패치를 적용.
적용 전 점검 항목
- 백업(스냅샷) 확인
- 패치 적용 전 반드시 최신 스냅샷이 있는지 확인(수동 스냅샷 권장).
- 운영 영향도(서비스 레벨) 파악
- RTO/RPO 요구사항 확인(예: RTO 30분, RPO 5분 등).
- 클러스터 정보 수집
- 계정 ID, 리전, 클러스터/엔드포인트, 현재 엔진 버전, 노드 타입, 복제구성 등 기록.
- 변경 통제/메인터넌스 윈도우 예약
- 트래픽/사용자 영향이 적은 시간대로 스케줄 권장.
적용 절차 (콘솔 기준)
- AWS Management Console → ElastiCache 로 이동
- 좌측 메뉴에서 Service Updates 선택
elasticache-october-patch-update-202510
항목 검색(또는 목록에서 확인)- 해당 패치의 Available 상태 확인 후 Apply 진행
- 적용 방식: 수동 적용 또는 자동 적용 스케줄링 선택 가능
- 패치 적용 도중/직후 노드 상태(available, reboot 등) 확인
- 적용 완료 후 애플리케이션 레벨 연결·성능·에러 로그 점검
적용 후 확인포인트
- Health 체크: 클러스터/각 노드의 Status, Failover 이벤트 유무
- Replication lag: 복제 지연이 발생했는지 확인
- 애플리케이션 로그: Redis 연결 실패/타임아웃 등 이상 징후 체크
- 모니터링 지표 변화: CPU, 메모리, 네트워크, Client Connections
- 스냅샷 복원 테스트(선택): 롤백 준비성 확보를 위해 스냅샷 기반 복원 테스트 검토
권장 롤백/긴급대응 절차
- 스냅샷을 이용한 복원: 문제가 심각하면 최신 스냅샷에서 새 클러스터를 생성 후 트래픽 스위칭 고려
- 읽기 전용 복제본(Replica) 우선 검사: 마스터 장애 시 Replica 프로모션 전략 점검
- AWS Support 케이스 오픈: 패치 적용 중/후 심각 이슈 발생 시 즉시 Support에 케이스 등록
결론 및 권고
- 엔진 버전 업그레이드가 당장 불가능하거나 미배포 상태일 때는, AWS에서 제공하는 Service Update 패치 적용이 안전하고 권장되는 방법입니다.
- 패치 적용 전 스냅샷 확보, 적용 중 모니터링, 적용 후 검증 절차는 반드시 지키세요.